목록파이썬 웹 개발/파이썬 기초 개념 (18)
일단 하자

# Section04-5 # 파이썬 데이터 타입(자료형) # 딕셔너리, 집합 자료형 # 데이터 타입 관련 퀴즈(정답은 영상) # 1. 아래 문자열의 길이를 구해보세요. q1 = "dk2jd923i1jdk2jd93jfd92jd918943jfd8923" # 2. print 함수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출력해보세요. # apple;orange;banana;lemon # 3. 화면에 * 기호 100개를 표시하세요. # 4. 문자열 "30" 을 각각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문자형으로 변환해보세요. # 5. 다음 문자열 "Niceman" 에서 "man" 문자열만 추출해보세요. # 6. 다음 문자열을 거꾸로 출력해보세요. : "Strawberry" # 7. 다음 문자열에서 '-'를 제거 후 출력하세요. : "0..

딕셔너리는 웹에서 소켓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활용되는 표준 데이터 구조인 json형시과 비슷하다. 1. 딕션너리 특징 2. 딕셔너리 추가 3. 집합 특징 4. 집합 자료형 함수 5. 자료형 변환 1. 딕셔너리 특징 딕셔너리(dict) : 순서X, 중복X(key), 수정O, 삭제O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로 이루어져 있고, key, value 한쌍을 item이라고 한다. 그리고 딕셔너리는 순서가 없기 때문에 출력시 interpreter에의해 순서가 상관없이 출력이 일어난다. + 선언 a = {'name' : 'Kim', 'Phone' : '010-7777-7777', 'birth' : 870214} # 여기서 key는 'name', 'Phone', 'birth'이다. # key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

1. 리스트 특징 2. 튜플 특징 3. 인덱싱 4. 슬라이싱 5. 삽입, 삭제, 함수 사용 1. 리스트 특징 순서 O, 중복 O, 수정 O, 삭제 O + 선언 a = [] b = list() print(type(a)) print(type(b)) c = [1, 2, 3, 4] d = [10, 100, 'Pen', 'Banana', 'Orange'] # 타입이 달라도 하나의 리스트 안에 넣을 수 있다. e = [10, 100, ['Pen', 'Banana', 'Orange']] # 리스트 안에 리스트 -> e[2]는 리스트이다. + 인덱싱 list = [5, 2, 3, 1, 4] 5 (첫번째 원소) 2 3 1 4 (마지막 원소) 인덱스 [0] [1] [2] [3] [4] [-5] [-4] [-3] [-2] ..

1. 문자열 생성, 길이 2. escape 문자 3. 문자열 연산 4. 문자열 형 변환 5. 문자열 함수 6. 문자열 슬라이싱 ***매우 중요*** 1. 문자열 생성, 길이 str1 = "I am Boy." str2 = 'NiceMan' str3 = """How are you?""" str4 = '' # 공백 문자. str5 = str() # 이것도 공백이다. print(type(str1)) print(len(str1), len(str2), len(str3), len(str4), len(str5)) 2. Escape 문자 escape_str1 = "Do you have a \"big collection\"" print(escape_str1) escape_str2 = "Tab\tTab\t" print(es..